반응형
✨ 스트레스가 살찌는 이유? = 코르티솔
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 몸은 단순한 심리적 반응을 넘어서, 생리학적 변화를 일으킵니다. 그 중심에는 '코르티솔'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있습니다.
**코르티솔(Cortisol)**은 부신피질(Adrenal Cortex)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계 호르몬으로, 신체가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.
문제는 지속적인 코르티솔 과다분비가 체중 증가, 특히 복부비만을 유발한다는 것입니다.
✅ 코르티솔의 기본 기능
정상 코르티솔 | 과다 코르티솔 (만성 스트레스) |
에너지 대사 조절 | 근육량 감소, 기초대사량 저하 |
혈당 유지 | 인슐린 저항성 증가 |
염증 억제 | 지방 축적 촉진 |
생체리듬 조절 | 렙틴 감소, 그렐린 증가 (식욕↑) |
✅ 스트레스 → 코르티솔 → 체중 증가 흐름
1️⃣ 스트레스 → HPA축(시상하부-뇌하수체-부신) 활성화
-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의 시상하부에서 CRH(코르티코트로핀 분비 호르몬) 분비
↓ - 뇌하수체에서 ACTH(부신피질 자극 호르몬) 분비
↓ - 부신에서 코르티솔 대량 분비
2️⃣ 코르티솔의 에너지 저장 명령
- 코르티솔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를 비상상황으로 인식
- 에너지 절약 및 저장 모드 → 체내 지방 축적 지시
- 특히 복부 지방 세포에 지방 저장을 촉진 (복부지방 세포는 코르티솔 수용체가 많음)
3️⃣ 식욕 자극과 폭식 유발
- 코르티솔은 렙틴(포만감 호르몬) 분비를 억제
- 동시에 그렐린(식욕 호르몬) 분비를 촉진
- 스트레스 상황 → 배가 안 고파도 군것질, 폭식 유도
4️⃣ 인슐린 저항성 유발
- 코르티솔이 높아지면 인슐린 민감도가 떨어짐
- 혈당이 쉽게 상승하고, 혈당 스파이크 후 급격히 떨어짐
- 혈당 저하 시 다시 폭식 → 악순환
- 혈당은 잦은 코르티솔 상승으로 만성적으로 높아짐
5️⃣ 근육 손실 및 기초대사량 감소
- 코르티솔은 근육 단백질 분해를 촉진
- 근육 감소 → 기초대사량(BMR) 감소
- 적게 먹어도 살이 잘 안 빠지는 몸 상태로 변화
✅ 왜 특히 뱃살이 찌는가?
- 복부 지방 세포는 다른 부위보다 코르티솔 수용체가 많음
- 스트레스 상태에서 코르티솔은 복부 지방에 우선적으로 지방을 축적
- 만성 스트레스 환경에서 **중심성 비만(Abdominal Obesity)**으로 이어짐
(허리둘레↑, 내장지방↑)
✅ 연구로 확인된 코르티솔과 비만의 연관성
- Epel et al., (2000)
- 코르티솔 수치가 높은 여성일수록 복부 비만, 식욕 증가, 폭식 빈도 높음
- JAMA Internal Medicine (2014)
- 직장 스트레스와 만성 수면 부족이 코르티솔 상승과 비만으로 연결
- Endocrine Reviews (2015)
- 스트레스와 HPA축 활성화가 인슐린 저항성, 지방 축적, 근육 감소를 유발
✅ 정리하면
스트레스 상황 결과
스트레스 상황 | 결과 |
HPA축 과활성화 | 코르티솔 과다 분비 |
코르티솔 과다 | 복부 지방 축적 ↑, 인슐린 저항성 ↑, 식욕 ↑ |
근육 분해 | 기초대사량 감소, 지방 축적 가속 |
식욕 조절 실패 | 폭식, 야식, 체중 증가 악순환 |
✅ 전문가 TIP
- 만성 스트레스 해소는 체중 조절에서 매우 중요
- 단순히 먹는 양, 운동만 조절하면 해결 안 됨
- 수면, 스트레스 관리, 심리적 안정이 체중 조절의 핵심
반응형
'건강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✅ 다이어트 보조제 주요 성분 분석 (전문가 정리) (3) | 2025.03.29 |
---|---|
✅ 다이어트 보조제 주요 성분 비교표 (2) | 2025.03.29 |
다이어트를 망치는 수면 습관 7가지 (6) | 2025.03.28 |
🌙 공복에 일어나는 호르몬 반응 완전 정리 (27) | 2025.03.28 |
🍻 회식 자리 생존 전략 (19) | 2025.03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