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저신용자 기준 (2025년)
신용등급 시스템 | 구분 | 저신용자 기준 |
KCB/올크레딧 | 1~1000점 기준 | 600점 이하 (하위 20% 이하) |
NICE지키미 | 1~1000점 기준 | 680점 이하 |
• 대출 심사 시 카드론·현금서비스 많거나 연체 이력 있다면 저신용자로 분류
• 저신용자는 1금융권 대출 심사 탈락, 2금융·정책상품 중심 이용 가능
2. 저신용자 대출 가능한 주요 기관 & 상품
1) 서민금융진흥원 – 햇살론17 (2025)
항목 | 내용 |
대상자 | 신용점수 하위 20% 이하, 연소득 4,500만 원 이하 |
대출한도 | 최대 1,400만 원 |
금리 | 연 17.9% → 성실상환시 최저 12%까지 인하 가능 |
상환방식 | 3~5년 원리금 균등상환 |
신청방법 | 서민금융진흥원 앱, 은행 제휴점,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 신청 |
특징:
• 1금융 대출 거절된 저신용자도 신청 가능
• 정부 보증 포함 → 승인률 높음
• 성실 상환하면 금리 매년 인하
2) 신용회복위원회 – 소액금융대출 (채무조정자 대상)
항목 | 내용 |
대상자 |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확정자, 개인회생, 파산자, 다중채무자 |
대출한도 | 최대 1,500만 원 |
금리 | 연 3~4% (정책지원금 포함) |
상환방식 | 5년 원리금 균등 상환 |
신청방법 | 신용회복위원회 홈페이지, 지역센터 상담 신청 |
특징:
• 채무조정 완료 후 생계비·주거비·생활안정자금 대출 가능
• 가장 금리 낮고 승인율 높음, 단 채무조정 과정 필수
3) 새희망홀씨 대출 (은행권 저신용자용)
항목 | 내용 |
대상자 | 연소득 4,500만 원 이하 & 신용점수 하위 20% 이하 |
대출한도 | 최대 3,000만 원 |
금리 | 연 6~10%대 (은행별 차이) |
상환방식 | 최대 5년 원리금 균등 상환 |
신청방법 |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 등 주요 은행 영업점 |
특징:
• 1금융권 은행 상품 → 저신용자도 비교적 저금리 대출 가능
• 중도상환수수료 無, 우대금리 조건 있음 (성실상환, 사회적배려자 등)
4) 바꿔드림론 (고금리 대환용)
항목 | 내용 |
대상자 | 연 20% 이상 고금리 대출 보유, 신용 600점 이하, 연소득 3,500만 원 이하 |
대출한도 | 최대 2,000만 원 |
금리 | 연 6~9%대 (기관별 차등) |
상환방식 | 3~5년 원리금 균등 상환 |
신청방법 | 서민금융진흥원, 새마을금고, 신협, 저축은행 등 방문 신청 |
특징:
• 기존 고금리 대출 통합 & 금리 대폭 낮춤
• 저신용자도 승인 가능, 부채비율 관리 효과
5) 캐피탈·저축은행 – 저신용자 전용 대출 상품
기관 | 금리(2025년) | 한도 | 특징 |
OK저축은행 | 10~20% | 최대 2,000만 원 | 연체·저신용자 전용 상품, 서류 간소화 |
SBI저축은행 | 9~20% | 최대 2,000만 원 | 비대면 신청 가능, 승인율 높음 |
현대캐피탈, 롯데캐피탈 | 8~15% | 최대 3,000만 원 | 직장인·사업자 대상, 조건 낮은 상품 제공 |
특징:
• 금리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승인율은 은행보다 높음
• 단, 상환 능력 대비 한도 과다 이용 시 신용등급 더 하락 가능
3. 저신용자 대출 선택 시 비교 포인트
비교항목 | 체크 포인트 |
금리 | 연 610%대 (정부, 은행권), 연 1020%대 (저축은행·캐피탈) |
대출한도 | 정부정책상품 1,500~3,000만 원, 저축은행·캐피탈 최대 3,000만 원 |
중도상환수수료 | 정책상품 대부분 無, 저축은행·캐피탈 일부 有 |
신청 자격 | 정부·은행권은 소득증빙, 연체 없음 필수, 저축은행·캐피탈은 제한 적음 |
상환방식 | 원리금 균등 상환 (대부분 3~5년) |
4. 저신용자 대출 활용 시 주의사항
1. 대출 비교는 최소 3곳 이상 → 금리, 조건 다름
2. 추가 대출 유혹 금지 → 대출 한도만큼 전부 쓰면 신용도 악화
3. 상환계획 확실히 수립 → 연체 1회라도 신용점수 급락
4. 부채비율 관리 → 금융권 심사 때 가장 중요
5. 신용점수 회복 병행 → 대출만 받고 관리 안 하면 장기적으로 더 불리
5. 저신용자 대출 추천 조합 (상황별)
상황 추천 조합
고금리 대출 보유자 (사채, 카드론 등) 바꿔드림론 → 새희망홀씨 → 저축은행 전환 순서
연체 기록 있으나 생활비 필요한 경우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+ 소액금융대출
직장인, 소득 증빙 가능하지만 신용 낮음 새희망홀씨, 햇살론17 → 1금융권 활용 가능성↑
자영업자, 사업자 저신용자 저축은행·캐피탈 대출 → 이후 은행 대환 고려
결론
저신용자라고 해서 무조건 고금리 대출만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.
정부 정책상품, 은행권 전용 상품, 서민금융기관 대환 상품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
금리 부담은 줄이고, 장기적으로 신용점수까지 회복할 수 있습니다.
핵심은:
• 금리 비교 철저히
• 대출 목적 외 과도한 추가대출 금지
• 상환계획 명확히 수립